미국 내 가톨릭교회의 성장 발전, 노예 매매 수익에 의해 추진.
최근에야 미국 내 가톨릭 교회의 성장과 발전이 노예 매매 수익에 의해 추진되었다는 사실이 공론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노예 없이 현대의 미국 가톨릭 교회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제시한 레이첼 스와른스 작가의 새 책 "The 272: The Families Who Were Enslaved and Sold to Build the American Catholic Church"은 1838년 예수회가 272명의 노예를 판매한 사건을 중심으로 가톨릭 교회의 노예제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의 실제적 영향을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보여줍니다.
당시 예수회 신부들은 메릴랜드의 예수회를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조지타운 대학을 구하기 위해 272명의 노예를 매각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공개된 이후, 뉴욕 타임즈 기사를 통해 두 가족의 후손이 서로를 찾게 되었다는 사실을 스와른스는 강조합니다.
이러한 노예 매매와 그 후손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넘어, 현대 사회와 기관이 그 역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스와른스는 이러한 역사가 "실제 사람들의 이야기"라며 그들의 이름과 우리와의 연결고리를 강조합니다.
1838년 가을,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의 장면을 묘사하는 이 기사는 심장을 찢는 장면입니다. 노인부터 어린이까지, 그리고 울부짖는 아기들까지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익숙한 세상을 떠나며 남쪽으로 강제 이송되는 모습이 그려졌습니다. 이들은 당시 메릴랜드에서 가장 큰 노예 소유주 중 하나였던 국내에서 가장 저명한 가톨릭 신부들에 의해 소유, 노예화, 판매되었습니다.
노예제와 신앙 사이의 모순된 관계는 신부들과 교회에 의해 정당화되었습니다. 그들은 노예들의 영혼을 구제하는 데 관심이 있었지만, 필요할 때는 그들의 몸을 판매하는 것에 대해선 문제를 삼지 않았습니다. 가톨릭 교회가 노예제를 어떻게 정당화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건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우리 모두가 반성하고 고민해야 할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