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지도자를 국가에서 임명하는데 프란치스코 교황은 묵인
"국가가 종교 지도자를 임명한다?" 마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이 상황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정치와 분리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최근에는 국가의 승인 없이는 종교 지도자가 탄생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교황청과 중국이 주교 임명에 관한 합의를 연장했다는 소식은 이러한 변화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놀라운 것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상황을 묵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는 점입니다. 교회의 독립성을 지키기보다는 정치적 타협을 선택한 모습이, 전통적인 가톨릭 신자들로부터 큰 실망을 사고 있습니다.
교황청은 중국과 "존중과 대화"를 통한 협력을 강조하지만, 과연 이러한 존중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 되묻게 됩니다. 수십 년 동안 정부의 억압 속에서 지하 교회를 통해 신앙을 지켜온 중국의 신자들은 이러한 합의를 기만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큽니다. 오랫동안 독립적인 신앙을 지켜온 이들이 이제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에서 신앙 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타협이 진정한 종교적 자유와 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중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같은 이슬람 국가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곧 국가의 지도자로 군림하며, 종교적 권위가 정치적 권력과 결합되어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국왕이 종교적 권위를 함께 지니며, 이슬람 율법이 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란에서도 최고 지도자가 종교적 권위를 바탕으로 정치적 결정을 주도하고, 국가의 중요한 결정들은 종교적 지도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종교적 자유보다는 국가적 요구가 우선시되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이번 교황청과 중국 간의 합의는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현실을 다시금 드러냈습니다. 종교는 신앙과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제는 정치적 타협 속에서 그 본질이 왜곡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앙의 자유는 중국 정부의 승인에 달려 있고, 주교의 임명 또한 교회의 독립적 결정이 아닌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되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침묵과 적극적인 대응 부재는 신자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제는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말이 더 이상 과장이 아닌 현실이 되었습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본질이 변질되고, 신자들은 그 결과를 감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 속에서 종교의 독립성은 어디로 갔는지, 그리고 신앙의 자유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다시 생각해봐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