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소식

가톨릭 성학대 피해 학생 - 가족 구성 후 교회를 상대로 소송 제기

멜버른, 빅토리아 – 최근 빅토리아 법원의 판결에 따르면, 가톨릭 교회에서 학대를 받은 한 소년의 가족이 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문이 열렸습니다. 이 가족은 교회의 부적절한 대응으로 가정이 큰 상처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이는 법적으로 탐색해야 할 중대한 사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사건의 중심에는 1970년대 중반 빅토리아 북서부에서 발생한 학대 사례가 있습니다. 당시 소년으로 주장되는 피해자는 브라이언 코피 신부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코피 신부는 현지 학교의 크로스컨트리 팀을 감독하면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3년에 사망한 코피 신부는 1960년부터 1975년 사이 네 개의 본당에서 아동을 학대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교회는 그에게 여러 본당을 배치했습니다. 이 소년은 학대를 받은 후 심각한 알코올 중독과 마약 중독 문제를 발현하였으며, 결혼한 후 아내와 자녀들에게 폭력적이고 학대적인 행동을 보였습니다. 이제 피해자의 가족은 교회가 코피의 아동 학대를 방지하지 않아 그들이 "2차 피해자"가 되었다고 주장하여 가톨릭 교회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교회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학대를 받은 소년이 가족을 이룰 때 그의 가족이 해를 입을 위험에 처하게 했다고 주장합니다. 이 사건은 교회가 피해자의 가족에게도 의무를 가지며, 이는 학대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후에도 그의 아내와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합니다. 빅토리아 대법원의 판사 앤드류 키어는 이 사건을 "신선한" 사례로 평가하며, 교회가 피해자의 미래 가족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 "틀린 논리라 확신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로 인해 사건은 모든 증거가 제시된 후 재판에서 결정될 예정입니다. 이 사례는 교회가 신자들에게 신뢰 의무를 가지며, 특히 아동 신자들의 최선의 이익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회가 코피 신부를 본당 신부로 임명하고 유지함으로써 그가 학대를 저지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입니다. 이 결정은 가톨릭 교회 내에서 발생한 학대 문제에 대한 새로운 법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교회가 직면한 법적 책임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들이 겪은 고통과 그들이 요구하는 정의는 교회와 사회 전체에 심각한 반성의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지출처 : 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