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소식

2027년 서울에서 열릴 세계청년대회(WYD) 자금, 국가에서 지원하나?

출처 : EPA/ 연합뉴스

2027년 서울에서 열릴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WYD)는 전 세계 가톨릭 청년들에게 신앙을 강화하고 종교적 가치를 체험하게 하는 중요한 행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의 주제,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는 성경 구절에서 가져온 희망의 메시지로, 전 세계 청년들에게 큰 영감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대규모 종교 행사가 한국 사회에 미칠 영향과 그 이면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WYD와 같은 대형 국제 행사는 상당한 예산이 투입되는데, 이러한 자금이 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통해 마련된다면 공공의 자금 사용에 대한 형평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다종교 사회입니다. 특정 종교 행사에 공공 자금이 투입될 경우, 다른 종교를 가진 이들이나 종교적 성향이 없는 사람들에게 불편함과 불공정함을 느끼게 할 우려가 큽니다. 공공의 세금을 종교 행사에 사용함으로써 종교적 중립성을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지원이 종교와 정부 간의 결탁으로 비춰질 경우, 종교적 중립성 논란과 더불어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해외에서도 이러한 논란은 있었는데, 2008년 시드니에서 열린 WYD의 경우, 대회 기간 동안 도시의 교통이 마비되고 인파로 인한 혼란이 발생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컸습니다. 또한, 2011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WYD에서는 막대한 공적 예산이 행사 준비와 치안 유지에 투입되었고, 세금 사용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며 주민과 시위자들의 반발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해외 사례들은 향후 서울에서 열릴 WYD 준비 과정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WYD의 주제 자체는 평화와 용기를 강조하여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가톨릭 교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그 메시지가 이중적으로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십자군 전쟁 시기에는 종교적 신념을 내세워 폭력과 전쟁이 정당화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 교황청이 나치의 만행에 대해 침묵했던 일화는 오랜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가진 가톨릭이 오늘날 평화를 주장하는 것이 그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듭니다. 특히, 가톨릭 교회가 과거 정치적 목적을 위해 신앙을 이용했던 사례들은 WYD의 평화적 메시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더할 수 있습니다.

또한, WYD가 종료된 이후 이 행사가 한국 사회에 어떠한 유산을 남길지에 대한 의문도 중요합니다. 종교 행사를 통해 신앙을 고취하는 것은 일부 참가자들에게 긍정적 경험이 될 수 있지만, 행사가 끝난 후에도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영향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WYD가 단순히 가톨릭 교회의 행사로만 남지 않고, 한국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사회적 통합과 균형을 고려한 신중한 준비와 판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