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한국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출처: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정부의 종교문화재 지원을 둘러싼 논란이 종교 간 갈등으로 번지는 등 이전과는 크게 다른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천도교 등 시민단체들이 ‘천주교성지화’ 측면이 강하다며 반발하고 있는 ‘서소문밖역사유적지 관광자원화’ 사업에 포함된 서소문공원의 천주교 순교자 현양탑 모습.

한국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은 신앙적 의미를 강화하고 역사적 유산을 기리기 위한 노력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역사적 왜곡과 종교적 편향성을 내포한 시도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외래 종교가 한국의 주요 문화 유산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공공성의 원칙이 무시되고, 특정 종교의 이익을 위해 공공 자원이 재편성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종교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성지화의 역사적 왜곡과 종교적 갈등

성지화 사업은 기존의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천주교적 해석으로 재구성하면서, 다른 종교나 문화의 가치를 소외시키거나 왜곡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불교 사찰이나 역사적 사적지에 천주교적 의미를 부여하여 성지로 개발하는 경우, 해당 장소의 원래 역사적 의미가 훼손되거나 무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공공 역사에 대한 왜곡일 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와의 공존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성지화 사업에 투입되는 막대한 예산과 공공 자원의 불균형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투입되는 막대한 공공 자금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됩니다. 수백억 원이 투입되는 성지화 프로젝트는 종교 간 형평성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서소문 성지에 600억 원, 홍주 순교성지에 2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등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공공 자원이 집중되면서, 다른 종교나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자원 배분의 불균형이 초래됩니다. 이는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성지화 사업의 문제점 사례

1. 주어사와 천진암

주어사와 천진암은 원래 불교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로 성지화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불교와의 역사적 연관성이 무시되었으며, 천주교적 의미로 재해석되면서 불교적 유산이 훼손되었습니다. 특히, 주어사에서 출토된 불교 유물이 천주교 성당으로 반출된 사례는 천주교 성지화 과정에서의 역사적 왜곡과 종교 간 갈등을 초래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2. 서소문 성지

서소문 성지는 원래 다양한 종교적 핍박이 이루어진 역사적 처형터였습니다. 그러나 천주교는 이곳을 성지로 개발하면서 서소문역사공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성지 조성의 목적을 위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타종교 및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있었으며, 공공성을 무시한 성지화 사업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3. 해미읍성

해미읍성은 조선 시대의 군사 요새였으나, 천주교 성지로 재해석되어 순교 사적지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천주교적 시각으로만 역사가 재구성되었고, 다른 역사적 맥락이나 원래의 공공적 의미는 간과되었습니다. 이는 천주교의 역사적 정당성을 강조하면서도, 공공 역사에 대한 왜곡과 종교 간 갈등의 소지를 제공하는 사례입니다.

4. 홍주 읍성

홍주 읍성의 복원 과정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천주교 순교 사적지로 개발된 이곳은 원래 조선 시대의 군사 요새였으나, 천주교의 역사적 맥락을 강조하면서 다른 역사적 의미가 소홀히 다루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특정 종교에 자원이 집중되는 결과를 낳아, 종교 간 형평성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결론

특정 종교의 관점만을 반영한 성지화는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성스러운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른 역사적 맥락과 종교적 다양성을 무시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공공의 역사적 유산은 모든 국민의 자산이며, 이를 특정 종교의 시각에만 맞추어 재해석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부분입니다. 성지화 사업은 공공성과 역사적 객관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