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천진암, 주어사 등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로 불교계와 가톨릭 간 갈등 심화

출처 : BTN뉴스

 

최근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 갈등의 중심에 서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천진암, 주어사와 같은 역사적 불교 사찰들이 천주교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계는 그들의 역사와 문화가 소외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오랫동안 공존해온 불교와 가톨릭 간의 관계가 이번 논란으로 긴장 상태에 놓이게 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종교적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한 성지화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사례는 이 문제의 핵심을 잘 보여줍니다. 천진암은 원래 조선 후기 불교 사찰로,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준 역사가 있는 곳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 사찰로서의 정체성이 희미해졌습니다. 주어사 또한 유사한 역사를 지니며, 이제는 천주교 순례자들이 찾는 성지가 되었습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역사적 유산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이며, 성지화 과정에서 불교적 상징을 가톨릭적 상징물로 대체한 점을 특히 문제 삼고 있습니다.

최근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 조성 협약을 체결한 것 역시 불교계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맞서 싸운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주교가 이곳을 천주교 순례길로 개발하려는 시도는 남한산성의 불교적 유산을 훼손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이는 천주교가 불교의 역사적 공헌을 인정하지 않고, 독점적인 해석을 시도한다는 인상을 줍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성지화 사업이 국가와 지방 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다는 점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개발하겠다는 목표 하에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천진암 성지화 과정에서도 나타나며, 천주교 성지화를 위한 대규모 개발에 공공 자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자금이 특정 종교의 이익에 치우치고, 종교적 중립성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성지화 사업이 특정 종교의 신앙적 상징성 강화에만 집중될 경우, 종교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모든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공정한 행정 처리와 종교적 편향성에 대한 우려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보다 신중하고 공정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고 존중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거나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역사적 공존의 가치를 존중하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