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끊임없는 성범죄와 부정부패가 난무하는 예장과 감리회

출처 : 서울 = 뉴시스

한국 개신교 교단의 위기: 부패와 범죄가 드러낸 구조적 문제

한국 개신교의 주요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가 끊임없는 성범죄와 부패로 인해 신앙의 본질을 훼손하고 있습니다. 신앙과 도덕의 중심지로서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야 할 교회가, 지도자들의 범죄와 책임 회피로 인해 "범죄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습니다.


끝없이 이어지는 범죄와 무너진 신뢰

최근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는 한 담임목사가 여성 신도 24명을 대상으로 그루밍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사회적 충격을 안겼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지속적인 피해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피해자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라는 명목 아래 가스라이팅을 당하며 범죄가 은폐되었다는 점은 더욱 큰 문제를 드러냅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역시 성범죄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보고된 성폭력 사건 중 70% 이상이 담임목사, 부목사, 교사 등 교회 내 권위 있는 인물들에 의해 저질러졌으며, 특히 예장 합동 교단은 가장 높은 빈도의 사건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해자에 대한 처벌은 미미하거나 아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다수입니다.


구조적 부패와 책임 회피

교단 내부의 비공개 문화와 책임 회피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 기독교대한감리회: 2021년, 성범죄를 저지른 김모 목사가 담임목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교단 차원의 면직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후 다른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는 교단이 성범죄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고 가해자의 활동을 묵인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합니다.
  • 대한예수교장로회: 성폭력 사건 47건 중 단 11건만이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불기소 또는 기소 유예로 종결되었습니다. 심지어 교회 내부에서 징계 요구가 있었던 사건조차 가해자가 자진 사임하거나 별다른 조치 없이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교회가 성범죄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은폐하며, 가해자들이 권력을 이용해 범죄를 반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정통 교단의 현실: 이단보다 심각한 문제

정통 교단으로 알려진 예장과 감리회에서 벌어지는 범죄는 이단 단체의 문제보다도 심각합니다. 이단 단체들은 그들의 비정상적 교리로 비판받지만, 정작 정통 교단에서는 대중적 이미지와 언론, 자본의 힘으로 범죄를 은폐하거나 축소시키는 일이 빈번합니다.

특히, 문제 해결 대신 "꼬리 자르기"로 사건을 무마하거나, 가해자를 다른 교회로 이동시키는 방식은 교단 전체의 부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피해자를 보호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새로운 피해자를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교회의 미래는 변화에 달려 있다

한국 개신교의 주요 교단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구조적 개혁의 가능성이 희박해 보입니다. 신앙의 본질을 왜곡하고, 권위를 남용하며, 범죄를 묵인하는 구조는 더 이상 신앙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부패를 방관하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건을 은폐하는 교단의 행태는 즉각적으로 청산되어야 합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철저한 내부 개혁과 책임 있는 조치를 실행해야 합니다.


결론: 부패한 구조를 단호히 청산해야

신앙은 사랑과 정의, 그리고 치유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 개신교의 일부 교단은 이러한 가치를 상실한 채 범죄와 부패의 온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 교단 스스로 변화의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외부의 압력을 통해서라도 구조적 개혁이 이루어져야 할 때입니다.

교회의 미래는 부패와 범죄를 단호히 청산하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에 달려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교회가 진정한 신앙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